족삼리(足三里)
삼은 무릎아래 3치되는 곳을 가리킨다.
리는 마을, 거처, 집회, 통달을 의미한다.
족삼리혈은 각종 만성질환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무병장수 건강혈이라고 말합니다
이 혈은 상중하 세 부위의 모든 질환을 통치하지만 위치가 차지에 있기 때문에 족삼리라고 이름 한 것이다.
위경의 합혈이며, 사총혈 가운데 하나이다.
몸을 튼튼하게 하는 중요한 혈로서 요통, 소화불량, 위염, 장염, 팔다리 피곤증, 고혈압 등을 치료함.
독비에서 아래로 3치에 있는데 경골전연에서 외측으로 동신촌법 1치 되는 곳이다.
다리의 삼리혈에 뜸을 뜨면 상체로 몰리던 기가 하체로 내려오면서 하체의 힘이 되살아 나게 됩니다
1. 무릎의 동그란 뼈 밑을 만져 2개의 움푹 들어 간 곳을 찾는다.
안쪽의 움푹 들어간 곳이 내슬안이고 바깥쪽의 움푹 들어간 곳이 외슬안 혹은
독비라고 한다.
2. 다리를 바로 세웠을때 가장 중앙엣 우뚝 솟은 정강이 뼈를 따라 무릎을 향해 위로
올라가다보면 중간쯤에서 막히는 부분이 나온다. 여기가 경골조면이라고 한다.
3. 1의 독비에서 수직으로 내려온 선과 2의 경골조면에서 옆으로 그은 수평선을 연결한
지점이 바로 족삼리이다.
예전부터 두한족열(頭寒足熱:머리는 차게, 발은 따뜻하게)은 보건과 장수의 비결이라 하였다. 침이나 뜸으로 족삼리혈을 시술하면 모든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주므로 전신상태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경혈이다.
이 혈을 장수혈(長壽穴)이라고 부르는 것은 신경을 많이 쓰는 30세 이후에 계속 시술하면 상기(上氣)를 가라앉히게 되어 노쇠를 예방하기 때문이다.
삼리는 위열(胃熱)을 사(瀉)하는 명혈(名穴)로 꼽는다.
고전에 두복삼리류( 腹三里留)라고 하였는데, 복통 즉 위장병 전체가 이 혈과 관계된다.
시술하면 부신피질(副腎皮質)에 작용하여 에피네프린 분비를 촉진시켜 심신 모두 효과가 있으므로 신경쇠약 ·히스테리 ·발광 ·정신병 등 신경질환과 각기 ·좌골신경통 ·경골 및 비골신경통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도 효과가 있고, 소아마비 ·축농증 등에도 효험을 볼 수 있다.
위장경락 (족)삼리혈에 대한 침구학적인 의의
1) 삼리혈은 모든 병의 요혈(要穴)이다. 상초와 중초 그리고 하초를 다 통하게 한다.
2) 일본여자들은 시집가기 전 반드시 삼리에 뜸뜨는 법을 배워서 간다
(남편과 시부모의 건강을 위한 전통)
3) 침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에서 으뜸가는 연구 대상이 삼리혈이다.
4) 오랜 여행이나 장거리 도보에는 삼리혈이 최고이다.
그리고 삼리혈에 뜸을 뜨면 오랜 시간 걸을 수 있다.
5) 뱃속의 모든 병은 삼리혈을 대표로 한다.
복통에는 梁丘. 三里를 쓰면 어지간한 병은 다 낫는다.
6) 술상무를 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삼리혈에 지압이나 뜸이나 침을 맞으면 좋다.
7) 강화(降火)작용이 가장 강하게 일어나는 혈이다.
8) 나이를 먹어 무릎에 바람들 때도 삼리혈이 좋다.
9) 코막힘에도 삼리 혈을 쓴다.(기운을 내리는 작용이 강하므로)
10) 침에 대한 공포가 심한 사람. 소심한 사람.빈혈이 있는 사람에게는 삼리부터 침을 놓고
치료한다.
11) 만일 가슴이상이나 흉부에 침을 놓다가 졸도하여도 삼리혈을 자극하면 깨어난다.
12) 폐결핵환자나 극도로 몸이 약하여 상초의 열로 두통이 올 때도 삼리혈로 내린다.
13) 노인의 하초가 극도로 냉할 때도 삼리를 취한다.
14) 수승화강 작용이 가장 강하게 일어나는 곳은 손에서는 曲池(대장경락)이고 발에서는
삼리이나 삼리가 우선이다.
곡지와 삼리에 뜸을 뜨는 사람에게는 뇌졸중(중풍)은 오지 않는다.
15) 술에 취하여 정신이 없을 때도 삼리를 쓴다.
16) 어린아이(6세 이하)아이에게 삼리혈을 오래 치료하면 내리는 작용으로 성장에 장애를
받을 수 있다.
17)심한 화가 났을 때도 삼리를 긁으면 화가 내려가 마음이 가라 않는다.
18)침을 놓을 때는 표면과 약 90도 각도로 1센티미터 이내로 놓는다.
19)극도로 소심한 사람에게 삼리에 침을 강하게 놓으면 빈혈이 오니 차라리 뜸을 쓴다.
'의학 > 의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음교 혈자리의 특징 (0) | 2011.05.01 |
---|---|
모두의 건강을 위하여 뜸을 뜹시다 (0) | 2011.05.01 |
구당 김남수옹의 이야기 (0) | 2011.05.01 |
뜸의 원리 (0) | 2011.05.01 |
뜸의 효능 (0) | 2011.05.01 |